반응형

소득세 계산법 확인해보자!

매달 월급일이 다가오면 기분 좋아짐이 피크를 찍었다가 막상 월급날 월급명세서를 쳐다보면 맥이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 이렇게 공제내역이 많은 건지...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하고 손에 쥐어지는 세후 월급은 정말이지 한숨만 나옵니다.

월급의 소득세는 도대체 어떤 계산법에 따라 부과되는 걸까요? 오늘은 월급 공제항목 중 갑근세라고도 하는 이 소득세 계산법 을 시원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검색창에 홈텍스를 입력해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홈텍스 홈페이지 메인화면에는 아래와 같이 조회/발급, 민원증명, 신청/제출, 신고/납부 등의 항목이 있습니다. 이중 소득세 계산법은 [조회/발급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조회/발급 항목에는 다시 전자(세금)계산서, 연말정산간소화, 세금신고납부, 세무대리정보 등의 많은 카테고리가 존재합니다. 이중 우리는 소득세 계산을 위해 [기타 조회] 항목[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클릭합니다.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나의 월급에서 한 달에 납부하는 소득세를 구할 수 있는 소득세 계산기가 나타납니다. 여기에 월급여액과 전체 공제대상 가족수, 전체 공제대상 가족 중 20세 이하 자녀수를 입력하여 계산하기를 누르면 본인의 납부해야할 소득세가 계산되어져 나옵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월급인 180만원을 기준으로 공제대상 가족수는 본인 1명, 20세 이하 자녀수 0명일 경우 납부해야할 소득세는 13280원, 16620원, 19940원으로 계산됩니다. 직장에서 납부해야할 소득세를 80%, 100%, 120% 설정을 할 수 있으므로 총 3가지의 소득세를 계산해주게 됩니다. 물론 연말정산 시 결국에는 총 급여액대비 소득액을 계산하기 때문에 조삼모사이기도 하지요.

대기업의 경우 초봉이 4000만원일 경우가 많습니다. 연봉 4000만원은 한 달에 얼마나 소득세를 납부하는지 계산해볼까요? 연봉 4000만원은 월 333만원으로 소득세 100% 기준으로 월 13만2천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월급 180만원보다 150만원 정도가 올랐을 뿐인데 소득세는 10만원 이상 더 납부하게 되네요. 

그러면 현대차나 삼성같이 초봉이 6000만원 정도가 되는 꿈의 대기업의 경우 소득세가 얼마인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연봉 6000만원은 월 500만원이므로 소득세 계산법에 따르면 무려 월에 약 39만원의 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정말 어마어마하네요. 역시 많이 번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나 저 정도 세금을 납부해도 되니깐 연봉 6000만원을 꼭 한 번 받고 싶습니다.

직장생활 하며 재테크를 하고자 하는 직장인이라면 본인의 소득세가 정확하게 징수되고 있는지 소득세 계산법으로 반드시 체크해보시기 바랄게요!

반응형

,
반응형

국민연금 계산법 파헤치기!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라면 법적으로 국민연금을 가입하여 사업자가 50%, 직장인 본인이 50% 부담하여 매월 월급에서 공제됩니다. 월급날이면 언제나 매달 빠져나가는 국민연금이 아깝게 느껴지도 하는데요. 과연 내가 국민연금을 수령할 시기에 얼마의 금액을 매달 받게될 것인지 확인해보는 국민연금 계산법을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계산법은 간단조회와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정확한 조회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국인연금의 간단 계산법부터 알아볼까요? 네이버 검색창에 국민연금공단을 검색 후 들어가서 아래 사진과 메인 페이지 중앙의 표시된 예상연금간단조회를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월납입보험료만 기입하여 예산연금액을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월 납입보험료가 10만원, 30년 가입의 경우 노령연금은 약 50만원, 장애연금은 장애 1급시 37만원 정도를 수령할 수 있네요.

하지만 우리가 놓쳐서는 안되는 점은 월 납입보험료는 월급에서 우리가 내는 금액의 2배라는 사실이지요? 즉 본인의 월급명세서에서 월 10만원의 국민연금을 납부한다면, 월 납입보험료를 20만원으로 기입하고 국민연금을 계산해야합니다. 이 경우, 30년 가입 시 약 67만원의 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네요.

국민연금 납부액 맥스치인 39만600원일 경우 30년 가입 시 노령연금 약 1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는 적다고 느껴지는데요? 장애연금의 경우 장애 1급시 약 74만원을 매월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제 좀 더 구체적인 국민연금 계산법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메인페이지 우측에 표시된 노후준비(내연금)을 클릭하면 내연금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상연금조회, 국민연금 모의계산 등의 아이콘이 존재합니다.

이 중 내연금 알아보기(국민,개인,퇴직연금)을 클릭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이 본인의 예상연금액, 수급개시 년월, 예상 총 납부월수, 예상납부보험료총액, 평균 소득월액 등의 아주 구체적인 항목들의 내용까지 확인할 수 있게됩니다.

국민연금 역시 내 월급에서 납부되는 나의 피같은 돈이라는 사실, 잊으시면 안되겠죠? 본인이 얼마동안 납부하고, 언제, 얼마의 액수로 수령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 계산법을 반드시 한 번은 체크해보아야겠습니다.

반응형

,
반응형

월급 실수령액 10초만에 확인!

힘들었던 취준생 신분에서 벗어나 구직 후 회사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누구나 첫 번째로 궁금해 하는 것이 바로 월급과 연봉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제시하는 월급과 연봉은 세전 기준일 경우가 많으므로 구직 전 또는 취업 후 반드시 월급실수령액을 확인해야 첫 월급을 받은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스러움을 막을 수 있습니다.

월급 실수령액은 세전 연봉 세전 월급에서 4대보험을 공제한 금액인데요,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네이버에 사람인을 검색하여 들어가면 좌측 상단에 글자수세기, 학점변환 등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중 아무거나 클릭을 해봅니다.

아이콘 클릭시 다음과 같이 성공취업도우미 항목이 나오게 됩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을 할 수 있는 연봉계산기를 포함하여, 사진 크기조정, 글자수세기, 학점변환 등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하네요. 우리는 월급실수령이 궁금하니 연봉계산기를 클릭하여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일반적인 급여액인 180만원의 실수령액을 확인해보니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등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하니 약 160만원의 금액을 실수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0만원을 실수령하기 위해서는 세전 월급이 얼마가 되어야할까요? 저는 학창시절 월200만원만 받더라도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었었죠. 연봉계산기 계산결과 세전 220만원 정도가 되어야 월급 실수령액으로 200만원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대기업에 입사하여 높은 초봉인 연봉 5000만원을 꿈꿔보기도합니다. 연봉 5000만원의 한달 월실수령은 얼마 정도일지 궁금합니다. 연봉계산기로 돌려볼까요? 계산결과 4대보험과 소득세를 공제하고 나니 예상 실수령액이 약 358만원입니다. 생각보다는 큰 금액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월에 순수 500만원의 월급실수령액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연봉이 얼마가 될어야 할까요? 계산기를 돌려보니 세전 연봉이 약 7250만원이나 되어야 하네요.

같은 직장인으로서 꿈의 월급이 아닐 수 없네요. 우리도 언젠가 실수령액으로 월 500만원을 받는 날이 오길 바라며... 이상 연봉계산기를 통해 간단히 월급 실수령액을 확인해보았습니다.


반응형

,